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
캐모마일chamomilla불면증의 구원자 캐모마일은 유럽, 북아프리카, 북아시아가 원산지이며 국화과이지만 저먼 캐모마일은 1년초이고 로만 캐모마일은 다년초입니다. 품종에 따라 황색과 흰색이 있으며 캐모마일의 어원은 그 꽃이 사과와 같은 향을 낸다고 하여 그리스어의 ‘작은 사과’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불규칙적인 사회 활동과 잦은 연장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그리고 이어지는 음주와 카페인섭취로 많은 이들이 불면증을 호소 합니다. 서양에서 캐모마일은 스트레스로 생기는 신경성 소화기장애, 인플루엔자에 수반된 감기나 두통 등의 민간약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증명하듯 라이브 사이언스 지에 의하면 2011년 미시간대학교의 연구진에 의한 실험에서 캐모마일을 섭취한 그룹에 실험자들이 다른 그룹보다 숙면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불면증은 원..
강황turmeric 천연 항암제 우리에게 즐겨먹는 카레의 주성분인 강황은 인도와 아시아의 열대지역 태생이며 카레 특유의 노란색을 주는 식물입니다.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의 뿌리에서 만들어지는 강황은 꽃의 이국적인 향기로 한때 많은 사람등에게 사랑 받으며 수천 년 동안 소염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강황과 항염증성을 가진 생강을 함께 복용하면 관절염에 우수한 효과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강황 잎은 잘 쓰지 않으며 줄기 또는 뿌리가 사용됩니다. 강황은 황산화제를 많이 갖이고 있습니다. 이 중에는 비타민C,E,케로티노이드, 사이클로옥시제나제 저해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이부프로펜 이라는 유명한 소염진통제와 비교하여 도 우수한 요과를 가지면서 부작용은 적은 것으로 보고 하고 있습니다. 강황의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놀라운 것은..
톱야자saw palmetto노인들의 불로장생초 노인에게 가장 좋은 친구라고 말하고 싶은 톱야자를 소개합니다. 남자들은 나이가 들면 전립선 문제로 소변보기가 힘들어 지고 가장 신경쓰이는 탈모와 성욕까지 떨어지기 때문에 이것을 되돌릴수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불로장생약 이라 부를수 있습니다. 톱야자는 미국 남동쪽 플로리다 습지와 서쪽으로 미시시피 해안까지 자생하며 모양은 선풍기 날개처럼 생긴것이 손가락을 쫙 핀 것처럼 생겼습니다. 톱야자의 과실은 소변 배출을 촉직하며 건강한 성기능을 보호해 줄 수 있다는 사실은 현대 연구에 의해서 서서히 알려지기 시작 했습니다. 미국이 원산지인 이 식물은 고향에서는 푸대접을 받고 있어 톱야자의 효능을 알아본 연구진들은 안타까워 하고있습니다. 미국에서 유럽으로 수출되는 톱야자의 과실은 매년 6천 톤에 달하며 그 잎은 가축의..
엉겅퀴(milk thistle)정력제 간보호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작년 제철 식품으로 엉겅퀴를 선정 했습니다. 엉겅퀴의 대표 웰빙성분은 실리마린과 아피게닌입니다. 실리마린은 간 보호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피게닌은 연골 파괴 억제에 효과적인 성분입니다.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인 건강기능식품 ‘밀크씨슬’의 실체도 엉겅퀴입니다. 밀크씨슬은 유럽에서 오랜 약용 역사를 갖고 있으며, 기능성 성분인 실리마린은 여러 연구와 인체 실험을 통해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최고의 간보호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엉겅퀴는 봄여름 주변에서 쉽게 눈에띄는 식물이였지만 지금은 지방 산지나 농촌에서만 볼수있는 귀한 식물이 되어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엉겅퀴는 동의보감’엔 ”엉겅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고 어혈을 풀리게하고 출혈을 멎게 한다“고 기술돼 있습니다..
성 요한의 풀 st.jons's wort 항우울증 성 요한의 풀은 행복한 식물입니다. 노란 꽃을 보는 것만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아름다운 이 식물은 항우울 작용뿐 아니라 다양한 질환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예쁜 다년초는 유럽이 원산지이며 2,000년 전부터 사용되었습니다. 성 요한의 풀은 모든 기후에서 잘 자라는데 건조 하고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더 잘 자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한때 소들이 이 풀을 대량으로 먹고 광민감성을 일으켜 축산지에서는 이 야생잡초를 모조리 뽑아버리기도 하였습니다. 오래전 로마시대에는 전쟁중 화상, 열상등 기타 상처에 사용되었으며, 대학연구에서 이 풀에서 나오는 하이퍼리신이 피부 손상 회복을 돕는다는 로마인들의 지혜를 증명해 주고 있습니다. 방사능에 의한 피부 손상도 감소시킨다는 보고도 있는데, 치료 전후에 성 요한 의 풀 기..
은행 (ginkgo )노화 방지/ 혈액 개선 지금도 가을철 거리의 악취에 주범으로 유명한 은행은 열매의 낙과 시기만 오면 공무원들은 주민 민원으로 은행열매를 제거하기 위해 바빠 지죠^^. 사실 이 문제로 전국의 도로가에 심어놓은 암그루의 은행나무를 교체하기도 하는데 최근7년간 산림청 에 서는 예산60억을 들여 전국의 은행나무 7,000 그루의 은행나무를 교체하여 폐기 또는 소각하였다고 합니다. 이제 몇년 후면 흔하게 주변에서 보이던 은행 나무를 볼수 없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은행은 동의보감등에 은행잎 달여 먹으면 혈류개선과 피를 묽게 하며 노화로인한 뇌의 순환장애를 개선시킨다고 하였습니다. 중국인들은 잎을 태워 김을 마시며 호흡기 질환을 치료했으며 씨와 열매를 약재로써 높이 평가 하고 있습니다. 은행이 노화로 인한 뇌의 순환장애를 개선..
에키네시아(echinacea) 항바이러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허브약 에키네시아는 감기, 독감, 바이러스 감염에 우수한 허브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민간 요법으로 우리가 마늘을 사랑하듯 에키네시아 를 이용합니다. 데이지꽃과 비슷한 보라색 꽃을 지닌 아름다운 이 식물은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치통에서 뱀에 물린 것까지 모든 것을 치료하는데 만병통치약처럼 사용했습니다. [허브약과 생약학]의 저자이자 런던 킹스 칼리지의 약학교수인 노만 래인저 비셋은 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허브약이라 전하며 인후통, 감기 기관지염, 다른 감염증에도 사용될 뿐아니라 상처의 치료를 빠르게 하는 국소적인 작용도 소개한바 있습니다. 20세기 합성의약의 도래로 에키네시아는 잠시 동안 약으로서의 인기를 잃었지만 2차대전중 독일의 학자들이 전쟁중의 군인들을 상대로 면역 자극 효과를 밝혀냈고 그 인기..
빌베리(bilberry) 효능과 연구결과 빌베리는 일본에서 눈의 긴장을 풀어 주는 눈열매라고 알려져 있으며 노화를 지연하는 굉장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농무부 연구센터의 실험에 다르면 빌베리는 황산화제의 양에서 39가지 흔한 과일과 채소를 앞섰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빌베리는 시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빌베리는 다른 건강 문제에도 사용할수 있으며 당뇨병, 고혈압으로인한 순환 장애, 멍, 모세혈관 약화, 정맥류. 순환 부전. 치질, 레이노드병 등에 효과가 있다는것을 최근 연구에서 보여 줍니다. 빌베리는 블루베리와 관련은 없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같은 용법이나 용도가 비슷합니다.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눈을 열어주는 약으로 쓰이며 황반 퇴화(황반의 붕괴로 유발되어 망막이 점 크기로 작아져 시야가 매우 좁아지는 증상)에 효과적이며..